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뉴토피아' 한국 좀비물 스토리, 연출 스타일, 좀비 설정 차이

by 쬬슐랭 2025. 2. 27.

쿠팡플레이 뉴토피아 드라마 지수 포스터

좀비 영화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장르 중 하나이며, 각 나라의 문화와 특성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로 발전해 왔습니다. '킹덤', '부산행', '지금 우리 학교는' 등 한국의 대표적인 좀비 영화는 한국적 정서가 반영된 독특한 스타일을 선보이며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습니다. 반면 '워킹데드', '레지던트 이블', '28일 후' 등 많은 외국 좀비 영화는 액션과 생존 서사를 강조합니다.

그렇다면,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뉴토피아’는 한국 좀비물의 계보를 잇는 작품일까요? 아니면 해외 좀비물과 더 닮아 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스토리, 연출, 좀비 설정을 중심으로 ‘뉴토피아’가 한국 스타일과 해외 스타일 중 어디에 가까운지 비교해 보겠습니다.

스토리: 감성 드라마와 생존 스릴러

한국 좀비물의 특징은 사회적 메시지와 감성적인 서사를 중시한다는 점인데요, 한국형 좀비물은 사회적 메시지와 인간적인 드라마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영화 부산행’은 좀비 바이러스가 퍼진 열차 안에서 생존자들이 서로 협력하거나 배신하는 모습을 통해, 이기심과 이타심의 대립을 보여줍니다. 드라마 '킹덤’은 단순한 좀비 서사가 아니라, 조선 시대의 정치적 음모와 맞물려 전개되며, 권력 다툼과 백성의 고통을 담아냅니다. 드라마 ‘지금 우리 학교는’은 좀비 아포칼립스를 배경으로 하되, 학교 내 따돌림, 가족애, 희생 같은 감성적인 요소가 강하게 녹아 있습니다.

해외 좀비물의 특징은 생존과 액션 중심이라는 점입니다. ‘워킹 데드’는 좀비보다 오히려 인간들끼리의 생존 경쟁과 갈등을 부각하며, 잔혹하고 냉혹한 현실을 묘사합니다. ‘레지던트 이블’은 강력한 여전사 캐릭터와 거대 기업의 음모, 실험으로 탄생한 강력한 좀비 등을 중심으로 한 액션 중심의 블록버스터입니다. ‘28일 후’는 전염병이 퍼진 사회에서 살아남으려는 사람들의 처절한 사투를 현실적으로 묘사하며, 좀비보다 더 위험한 인간의 본성을 탐구합니다.

그렇다면, ‘뉴토피아’는 어디에 속할까요? ‘뉴토피아’는 한국 좀비물처럼 감성적인 스토리라인을 가지고 있지만, 해외 좀비물처럼 새로운 사회 시스템을 탐구하는 점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연출 스타일: 미학적 연출과 현실적 분위기

한국 좀비는 미장센과 감성적 연출을 강조합니다. 킹덤’은 한복과 조선 시대 궁궐을 배경으로 한 아름다운 미장센이 강점이며, 조명과 색감도 웅장하고 섬세합니다. ‘부산행’은 제한된 공간(기차)에서 긴장감을 극대화하는 밀실 서스펜스 연출이 돋보입니다. ‘지금 우리 학교는’은 좀비가 학급 단위로 몰려오는 장면, 슬로 모션을 활용한 감성적인 장면 등이 특징입니다.

해외 좀비들은 사실적이고 거친 연출을 강조하는 것이 특징인데요, ‘워킹 데드’에서는 좀비들의 외형이 극도로 사실적이고, 어두운 색감과 핸드헬드 카메라 기법이 강조됩니다. ‘28일 후’는 자연광을 활용한 다큐멘터리 같은 느낌의 연출을 통해 현실감을 극대화합니다.

‘뉴토피아’의 연출 스타일은 어떠할까요? ‘뉴토피아’는 한국형 미장센과 감성적인 연출을 활용하면서도, 해외 좀비물처럼 새로운 세계관을 그려낸다는 점에서 독창적인 스타일을 보입니다.

좀비 설정: 감성적 존재 과 극한의 생존 위협

한국형 좀비물 설정을 알아보겠습니다. ‘킹덤’, ‘부산행’에서는 좀비가 무차별적으로 공격하는 존재지만, 종종 감성적인 요소가 포함됩니다. 일부 감염자들이 인간성을 일부 유지하는 설정이 간간이 등장하며, 감염자들의 고통을 부각하는 장면이 많습니다.

해외형 좀비물은 어떠할까요? 대부분 무조건적인 공격성을 지닌 존재이며, 생존자들을 위협하는 대상입니다. 감염 후에는 인간성과 감정이 완전히 사라지며, 단순한 공포 요소로 작용합니다.

‘뉴토피아’의 좀비 설정은 어떤지 알아보자면, ‘뉴토피아’는 기존 좀비물과 다르게, 좀비와 인간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듭니다. 좀비들이 인간성을 일부 유지하며,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려는 설정으로 이어집니다. 단순한 공포 대상이 아니라, 새로운 형태의 생명체로써 공존할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결론: 새로운 장르의 좀비물 ‘뉴토피아’, 한국과 해외 좀비물의 중간점

'뉴토피아'는 한국 좀비영화의 감성적 스토리와 미장센을 계승하면서도 외국 좀비영화처럼 새로운 세계관과 사회적 이슈를 탐구하는 방식을 선보였습니다. 즉, 한국 좀비영화와 외국 좀비영화 사이에 위치하며 기존 좀비영화와 차별화된 새로운 스타일을 만들어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 '뉴토피아'가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 기대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