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준호 감독의 신작 '미키 17'은 SF 장르의 철학적 질문으로, 에드워드 애쉬튼의 소설 미키 7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반복적으로 죽는 클론인 미키를 중심으로 인간 존재의 의미와 기술이 가져올 미래를 탐구합니다. 주인공 미키는 자신의 존재 가치를 찾기 위해 시스템에 맞서고, 그 과정에서 다양한 캐릭터가 등장해 이야기를 심화시킵니다. 본 글에서는 '미키 17'의 줄거리, 캐릭터, 그리고 감독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알아보겠습니다.
'미키 17'의 줄거리
이 영화는 인류가 새로운 행성을 식민지화하는 먼 미래를 배경으로 합니다. 지구의 자원이 고갈되면서 원정대는 혹독한 행성으로 이주하지만 그 과정은 극도로 위험하고 많은 생명이 희생됩니다.
주인공 미키는 원정대에서 "익스펜더블"로 알려진 클론 인간입니다. 그는 극한 환경에서 가장 위험한 임무를 수행하고, 죽으면 새로운 몸으로 복사되어 다시 살아납니다. 그러나 그의 기억과 감정은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미키는 죽음을 경험할 때마다 살아남을 운명입니다.
어느 날, 미키는 죽음을 피하게 되면서 예상치 못한 상황에 놓입니다. 원래 시스템에서는 한 번에 한 명의 미키만 존재해야 하지만, 새로운 미키가 생성되기 전에 기존의 미키가 살아남게 된 것입니다. 이 사회에서 두 명의 동일한 사람이 존재하는 상황을 "멀티플"이라고 하며 법적으로 위험 요소로 간주됩니다. 원정대는 현재 존재하는 두 명의 미키를 제거하려고 시도하며, 이는 시스템과의 갈등을 일으킵니다.
반복적인 죽음과 반복적인 복제를 거쳐 미키는 17번으로 살아남고, 자신이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개인으로서 존중받아야 한다고 믿게 됩니다. 그는 다른 미키들과 공존할 방법을 찾으려 하지만 원정대는 이를 허락하지 않습니다. 결국 미키는 시스템에 반항하고 원정대의 명령을 거부하며 자신의 생존을 위해 싸우기 시작합니다. 자신의 존재를 지키려 하는 미키와 그를 돕는 사람들은 새로운 땅에서 새로운 존재들과 공존할 방법을 찾기 위해 힘을 합칩니다.
미키 17 캐릭터 소개
미키 (로버트 패틴슨 분)
미키는 원정대의 익스펜더블로, 죽음을 거듭해서 경험합니다. 그는 곧 죽음을 거부하고 단순한 소비재가 아닌 사람으로 인정받고 싶어하면서 자신의 가치를 찾는 여정을 시작합니다.
탐사대 대장 (마크 러팔로 분)
원정대의 리더는 냉정하고 효율적인 리더로,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미키를 제거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으며, 필요하다면 누구든 제거할 의향이 있습니다. 그는 모든 인류의 생존이 중요하다고 믿고 독재 체제를 수립하고자 하는 캐릭터입니다.
미키의 친구 나샤 (나오미 아키에 분)
미키를 이해하고 도우려는 캐릭터가 여러 명 있는데, 그중 한 명이 그의 여자친구 나샤입니다. 나샤는 원정대의 특수요원이지만, 자신이 옳다고 믿는 것을 추진하는 사람입니다. 나샤는 미키의 생존을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새롭게 등장한 미키 (미키 18)
미키는 죽지 않고 살아남은 반면, 새로운 미키 18은 원래의 미키 17과 공존할 수 있을지에 대한 갈등을 일으키는 캐릭터로, 온화한 미키 17과는 다른 매력이 있는 매운맛 캐릭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영화가 전달하는 메시지
이 영화의 메시지는 대표적이며, 인간의 정체성과 존엄성에 대해 성찰하게 합니다. 미키는 자신을 소모품으로 취급하는 사회에 대해 "나는 누구인가?", "나는 진짜 인간인가?"와 같은 철학적 질문을 던집니다. 기술이 발전한 사회에서도 개인의 인간 존엄성을 보장해야 하는지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또한, 이 영화는 복제와 인간 사이의 경계에 대해 생각하게 합니다. 복제 기술이 개발된 미래 사회에서 각 개인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이 영화는 복제된 인간이 단지 노동자일 뿐인지 아니면 인간과 동일한 권리를 가져야 하는지 생각하게 합니다.
마지막으로, 시스템과 개인 간의 갈등에 대한 메시지가 있습니다. 원정대는 인류 전체의 생존을 위해 개인을 희생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미키는 개인의 존재 가치가 사회 시스템의 가치보다 낮은 개념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짐으로써 이에 반박합니다.